본문 바로가기
🌍 세계사 맛보기

🌍 문명이 맞붙은 첫 전쟁: 카데시 전투, 그리고 밝혀진 진실

by 팝코닝12 2025. 4. 26.
728x90

세계가 아직 젊던 시절,
사막과 강을 품은 거대한 제국들이 서로를 바라보고 있었다.

한쪽은 신의 나라, 이집트.
다른 한쪽은 전차와 강철의 제국, 히타이트.

이 둘 사이,
한때 강성했으나 쇠락한 미탄니라는 나라가 있었다.
아리아인의 후예들이 세운 미탄니는 두 제국 사이에서 마지막 완충지대 역할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히타이트가 미탄니를 침략해 삼켜버리면서,
역사는 격변의 소용돌이로 빨려 들어가기 시작했다.





⚔️ 카데시를 향한 행군

국경을 맞댄 두 제국.
이집트는 히타이트의 확장에 위협을 느꼈고,
히타이트는 더 이상 뒤로 물러설 생각이 없었다.

전쟁은 피할 수 없는 것이 아니라,
예정된 사건처럼 다가왔다.

기원전 1274년,
이집트의 파라오 람세스 2세는 대군을 이끌고
히타이트와 국경을 맞댄 요새 도시 카데시를 향해 북상한다.

히타이트의 왕 무와탈리스 2세는 기다리고 있었다.
수천 대의 전차와 함께.





🎯 제1회 월드시리즈, 카데시 전투

카데시 전투는
세계 최초의 문명 간 대전이자,
고대 세계의 첫 월드시리즈 같은 경기였다.

  • 이집트: 고도로 체계화된 군대, 신성한 파라오
  • 히타이트: 강력한 전차부대, 뛰어난 전술가

하지만──
승리는 쉽게 누구에게도 주어지지 않았다.







🛡️ 전장의 진실

전투는 치열했다.
람세스 2세는 기습을 당했고,
패배 직전까지 몰리며 절체절명의 위기를 맞았다.

이집트의 기록에 따르면,
람세스는 신으로 변신해 적을 쓸어버렸다고 한다.
아부심벨 신전에는 그 신화적 순간이 웅장하게 새겨졌다.

하지만 현대의 눈으로 보면,
그 장면은 아마──
라운드 내내 얻어터지다가, 간신히 버티고 종을 울려 살아남은 복서
같은 모습이었을 것이다.

살아 돌아왔고,
체면은 구겼지만,
파라오의 위신은 무너지지 않았다.
어차피 SNS도 없는 시대였다.





📜 승패의 판정

전투의 결과는 애매했다.

  • 이집트: 카데시를 탈환하지 못했다.
  • 히타이트: 이집트를 격퇴했지만 결정적 승리는 얻지 못했다.

양국 모두 자신이 이겼다고 주장했지만,
현대 학자들은 히타이트의 판정승이라고 본다.

이집트는 "위대한 승리"를 노래했지만,
그것은 3천 년 동안 이어진 람세스 2세의 희망사항에 지나지 않았다.

20세기 초,
히타이트 기록이 발견되면서
그 '드라마'는 서서히 벗겨지기 시작했다.





🤝 전쟁이 끝나고 남은 것

무승부,
그리고 세계 최초의 평화조약.

람세스 2세와 히타이트는

  • 상호불가침 조약
  • 위기 시 상호 원군 파견
  • 항구적 평화 유지
  • 조약 위반 시 신의 저주까지 명시한 협정

을 체결했다.

이는 인류 역사상 최초로,
전쟁을 넘어 평화를 문서로 남긴 사건이었다.







🏛️ 마무리

카데시 전투는
이집트와 히타이트라는 거대한 문명이 부딪힌 사건이었고,
또한 인류가 처음으로 '평화'라는 단어를 조약으로 새긴 순간이었다.

그날, 두 문명은 서로를 쓰러뜨리지 못했지만──
역사를 함께 다시 쓰기 시작했다.